질문내역
닉네임 | 여 |
---|---|
구분 | 여 / 20대 / 이성애자 |
상담실 인지경로 | 인터넷검색 |
결과 전달방법 | 게시판 |
포비아가 정말 심한 20대 여자 입니다. 제가 제일 무서워하는게 공용화장실을 사용하는 건데요 어제 술을 많이 먹어가지고 도저히 못 참겠어서 참다참다 술집 여자화장실을 갔습니다 제가 평소에도 두루마리 휴지를 많이 감아서 변기를 두 세번 닦은 후에 변기에 넣고 물을 내리고 그 다음에 엉덩이가 안닿게 들고 소변을 눠요 그런데 어제는 휴지를 너무 많이 써서 볼일 보기도 전에 변기가 막힌거에요 휴지가 구멍으로 내려가면서 물이 왈칵 차올랐는데 너무 급해서 그냥 그 위에 소변을 누었어요 그런데 사타구니 쪽으로 액체가 튀는게 너무 많이 느껴졌습니다 이 튄 액체가 제 소변인지 변기에 묻어있던 감염인의 체액(혈액 질액 등) 인지 아니면 차오른 변기물인지 너무 불안해서 일상생활이 힘들지경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바이러스는 수돗물에 섞이면 감염력을 상실한다는데 섞이면 바로 감염을 못시키는 건가요? 아니면 체액이 많으면 시간이 더 걸리는 건가요? 제가 믿은만한 희망은 변기물을 내리면서 변기물과 체액이 섞이면 감염안된다는 것 밖에 없는데 잊어버릴까요 기다렸다가 검사를 받아야 할까요 ㅠㅠㅠ 제가 검색을 하다가 에이즈 걸린 남편이과 아내가 손목긋고 동반자살을 하다가 욕조를통해 아내도 감염되었다는 기사를봤어요ㅠ 수돗물에서는 바이러스가 죽는다고 들었는데 이게 아니면 저는 감염된거 맞죠? 상담답변이 아직 오지않아서 좀 수정해서 다시 보내요 이걸로 답변해주세요ㅠ
답변내역
답변일 | 2020-01-16 21:21 |
---|---|
답변제목 | 감염을 못 시키는 건가요? |
여님 안녕하세요. iSHAP 허브상담사입니다.
공중화장실의 변기에서 물이 튀어올라 사타구니 쪽에 닿았는데 HIV에 감염된 건 아닐까 많이 걱정되시나 봅니다.
HIV 감염이 일어나려면 감염인의 혈액, 정액, 질분비액, 모유가 상처나 점막에 직접적으로 닿아야만 합니다. 우선 공중화장실의 변기 안에 감염인의 혈액, 정액, 질분비액, 모유가 있었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설사 감염인의 혈액, 정액, 질분비액, 모유가 변기물에 섞여있었다고 해도 변기물에 체액이 희석됩니다. 변기물에 들어간 체액은 농도가 높은 곳에서 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확산의 원리에 따라 감염이 가능할 만큼의 충분한 HIV를 가질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변기물이 사타구니에 튄 것으로 HIV에 감염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손목을 긋고 동반자살을 시도하다 HIV에 감염된 사례는 내담자님의 상황과 비교할 수 있는 케이스가 아닙니다. 우선 손목을 그었다면 한꺼번에 매우 많은 양의 혈액이 욕조에 흘렀을 것이고 부인의 손목에는 매우 큰 열린 상처가 있었기 때문에 남편의 혈액이 빠른 속도로 상처에 침투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HIV 감염은 수직감염(모체에서 태아로의 전파), 마약주사기 공동사용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100% 안전하지 못한 성관계로 발생합니다. 일상생활을 통한 HIV 감염가능성은 없으니 편한 마음으로 지내실 수 있길 바랍니다. 검사를 받으실 필요 또한 없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다시 상담실 찾아주세요. 감사합니다.
서울 종로> 02-792-0083/월 1PM-10PM, 화-토 10AM-10PM
서울 이태원> 02-749-1107/수-토 1PM-10PM
부산> 051-646-8088/화-토 1PM-10PM
공중화장실의 변기에서 물이 튀어올라 사타구니 쪽에 닿았는데 HIV에 감염된 건 아닐까 많이 걱정되시나 봅니다.
HIV 감염이 일어나려면 감염인의 혈액, 정액, 질분비액, 모유가 상처나 점막에 직접적으로 닿아야만 합니다. 우선 공중화장실의 변기 안에 감염인의 혈액, 정액, 질분비액, 모유가 있었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설사 감염인의 혈액, 정액, 질분비액, 모유가 변기물에 섞여있었다고 해도 변기물에 체액이 희석됩니다. 변기물에 들어간 체액은 농도가 높은 곳에서 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확산의 원리에 따라 감염이 가능할 만큼의 충분한 HIV를 가질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변기물이 사타구니에 튄 것으로 HIV에 감염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손목을 긋고 동반자살을 시도하다 HIV에 감염된 사례는 내담자님의 상황과 비교할 수 있는 케이스가 아닙니다. 우선 손목을 그었다면 한꺼번에 매우 많은 양의 혈액이 욕조에 흘렀을 것이고 부인의 손목에는 매우 큰 열린 상처가 있었기 때문에 남편의 혈액이 빠른 속도로 상처에 침투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HIV 감염은 수직감염(모체에서 태아로의 전파), 마약주사기 공동사용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100% 안전하지 못한 성관계로 발생합니다. 일상생활을 통한 HIV 감염가능성은 없으니 편한 마음으로 지내실 수 있길 바랍니다. 검사를 받으실 필요 또한 없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다시 상담실 찾아주세요. 감사합니다.
서울 종로> 02-792-0083/월 1PM-10PM, 화-토 10AM-10PM
서울 이태원> 02-749-1107/수-토 1PM-10PM
부산> 051-646-8088/화-토 1PM-1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