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내역
닉네임 | 질문 |
---|---|
구분 | 남 / 30대 / 동성애자 |
상담실 인지경로 | 인터넷 |
결과 전달방법 | 게시판 |
의심되는 관계는 이제 6주차가 되었습니다.
(콘돔없이 관계)
그 사이 몸살을 크게 두번 앓았고 목밑에 임파선이 부었었고
헤르페스바이러스로 인한 물집이 두차례 있었구요.
또한 결핵증상도 있어 지금 검사 받아보고 있습니다
일단 크게 몸살로 두번 앓은 것도 이상하고 한 2년넘게 안생겼던 헤르페스까지 올라와서 이상해서
5주차일때 보건소에서 익명으로 검사해서 3월3일에 결과가 나옵니다.
궁금한것은
1 보건소에서 익명으로 검사했는데 만일 양성일 경우 다시 본명으로 검사를 해야 그 다음 관리절차가 밟아가는것인지
아니면 알아서 해당전화로 보건소에서 연락이 오는 것인지요.
2 결핵같은 합병증에 대한 치료까지 에이즈약을 부여하는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같이 하는 것인지요?
아니면 결핵치료는 내가 알아서 하고 에이즈에 대한 치료만 관리병원에서 하는 건가요
(콘돔없이 관계)
그 사이 몸살을 크게 두번 앓았고 목밑에 임파선이 부었었고
헤르페스바이러스로 인한 물집이 두차례 있었구요.
또한 결핵증상도 있어 지금 검사 받아보고 있습니다
일단 크게 몸살로 두번 앓은 것도 이상하고 한 2년넘게 안생겼던 헤르페스까지 올라와서 이상해서
5주차일때 보건소에서 익명으로 검사해서 3월3일에 결과가 나옵니다.
궁금한것은
1 보건소에서 익명으로 검사했는데 만일 양성일 경우 다시 본명으로 검사를 해야 그 다음 관리절차가 밟아가는것인지
아니면 알아서 해당전화로 보건소에서 연락이 오는 것인지요.
2 결핵같은 합병증에 대한 치료까지 에이즈약을 부여하는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같이 하는 것인지요?
아니면 결핵치료는 내가 알아서 하고 에이즈에 대한 치료만 관리병원에서 하는 건가요
답변내역
답변일 | 2014-03-04 10:57 |
---|---|
답변제목 | 보건소에서 익명으로 검사를 받았는데 만일 양성일 경우 본명으로 다시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
안녕하세요? iSHAP상담실 원스 상담원입니다.
상담실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HIV 감염이 의심되는 성관계를 가졌는데 한달 사이에 몸살감기와 구순포진 증상이 있어
보건소에서 익명 검사를 받았는데 결과는 나오지 않았고 이후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본명으로 다시 검사를 해야 하는지 그리고 결핵과 같은 합병증과는 어떻게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하시군요.
먼저 질문님께서 궁금해 하시는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리겠습니다.
보건소에서 익명으로 검사를 받으셨다면 보건소에서 1차 검사를 하고 양성일 경우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으로 2차 확진검사를 의뢰합니다.
결과가 나오는 날 보건소로 전화를 해서 결과를 알 수 있는데 만일 양성이라고 하면
2차 확진 검사 결과 양성이기 때문에 확진이고 이후 실명 전환 등록여부를 묻게 될 것인데
이것은 본인이 선택하시면 됩니다.
실명 전환 등록을 할 경우 병원에서 HIV로 인해 발생하는 치료비나 약값 중
본인부담금을 지원 받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본인 부담금은 본인이 직접 부담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HIV 감염 치료나 합병증은 대학병원 감염내과에서 치료를 받게 됩니다.
보건소에서는 실명전환등록 시 치료비 지원에 따른 신청과 같은 행정적 업무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추가로 몇 가지 안내를 드리면 현재의 증상들을 가지고 HIV 감염 여부는 판단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HIV에 감염이 되면 1~2주 후 사람에 따라서 급성감염기에 감염초기 증상을 보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의 증상들은 HIV 감염으로 인한 특별한 증상들이 아니라 다른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과
똑 같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증상만 가지고는 감염 여부를 판단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감염 여부는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인생님께서는 5주차에 검사를 받으셨고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는데
만일 결과가 음성이라고 해도 7주후 다시 검사를 받야 보셔야 합니다.
HIV 검사는 항체 검사인데, 몸에 HIV가 들어오면 몸은 바이스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항체를 형성합니다.
검사에서 반응을 보일 정도의 항체가 형성이 되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데,
아무리 늦어도 12주에는 검사에서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충분한 양이 형성이 됩니다.
그래서 정확한 검사 시기는 의심행위를 하고 나서 12주가 지나서입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iSHAP으로 전화 부탁드립니다.
서울/월-토 10AM - 10PM/02-792-0083
부산/화-토 10AM - 10PM/051-646-8088
상담실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HIV 감염이 의심되는 성관계를 가졌는데 한달 사이에 몸살감기와 구순포진 증상이 있어
보건소에서 익명 검사를 받았는데 결과는 나오지 않았고 이후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본명으로 다시 검사를 해야 하는지 그리고 결핵과 같은 합병증과는 어떻게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하시군요.
먼저 질문님께서 궁금해 하시는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리겠습니다.
보건소에서 익명으로 검사를 받으셨다면 보건소에서 1차 검사를 하고 양성일 경우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으로 2차 확진검사를 의뢰합니다.
결과가 나오는 날 보건소로 전화를 해서 결과를 알 수 있는데 만일 양성이라고 하면
2차 확진 검사 결과 양성이기 때문에 확진이고 이후 실명 전환 등록여부를 묻게 될 것인데
이것은 본인이 선택하시면 됩니다.
실명 전환 등록을 할 경우 병원에서 HIV로 인해 발생하는 치료비나 약값 중
본인부담금을 지원 받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본인 부담금은 본인이 직접 부담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HIV 감염 치료나 합병증은 대학병원 감염내과에서 치료를 받게 됩니다.
보건소에서는 실명전환등록 시 치료비 지원에 따른 신청과 같은 행정적 업무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추가로 몇 가지 안내를 드리면 현재의 증상들을 가지고 HIV 감염 여부는 판단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HIV에 감염이 되면 1~2주 후 사람에 따라서 급성감염기에 감염초기 증상을 보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의 증상들은 HIV 감염으로 인한 특별한 증상들이 아니라 다른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과
똑 같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증상만 가지고는 감염 여부를 판단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감염 여부는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인생님께서는 5주차에 검사를 받으셨고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는데
만일 결과가 음성이라고 해도 7주후 다시 검사를 받야 보셔야 합니다.
HIV 검사는 항체 검사인데, 몸에 HIV가 들어오면 몸은 바이스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항체를 형성합니다.
검사에서 반응을 보일 정도의 항체가 형성이 되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데,
아무리 늦어도 12주에는 검사에서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충분한 양이 형성이 됩니다.
그래서 정확한 검사 시기는 의심행위를 하고 나서 12주가 지나서입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iSHAP으로 전화 부탁드립니다.
서울/월-토 10AM - 10PM/02-792-0083
부산/화-토 10AM - 10PM/051-646-8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