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신청 > HIV 온라인상담

본문 바로가기

HIV 온라인상담

상담실

HIV 온라인상담
질문내역
닉네임tttt
구분남 / 20대 / 동성애자
상담실 인지경로인터넷
결과 전달방법게시판

에이즈는 콘돔과 젤을 이용하면 특별한 일 아닌이상 걸리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성병 중에 곤지름이라는 거는 콘돔을 착용하여도 일단 피부와 피부가 접촉하면 걸릴 확률이 오십퍼라더군요


곤지름도 좀 알아보니 에이즈만큼 물론 인생에 영향을 줄만한 (?) 병은 아니지만


이게 꽤 피곤하고 끈질긴 병이더라고요


개인적으로 조심해야하고 주의해야할 이반들끼리의 성관계에서 발생할만한 병들의 순위를


1순위로는 에이즈 2순위로는 곤지름 매독 헤르페스 (곤지름이 헤르페스인가요?잘 몰라서요)  3순위가 사면발이


이정도로 순위를 정해놓고 있는데...1순위인 에이즈는 콘돔 젤을 이용하면 된다는게 맞는 것 같은데


2순위에 있는 병들은 딱히 대책이 안섭니다.콘돔착용으로도 부족하고 피부 접촉만으로도 감염이 된다고 하니까요


사면발이 같은 경우는 약국에서 연고를 바르면 완치가 된다고 하고 매독은 페니실린?인가를 뭐 맞으면 또 완치가 된다고 하지만..


곤지름은 여러 글을 읽어보아도 콘돔으로는 어느정도는 예방이 되겟지만 턱없이 역부족이라는 말이 지배적입니다.


콘돔을 착용하여서 상대방의 정액에 노출이 안됬고 그래서 에이즈에 안걸리더라도


콘돔을 착용하였다고 하여서 아예 상대방과 피부 접촉이 없는것은 아닐것이기에 곤지름이 콘돔만 믿기에는 무섭다는 것 같아요


곤지름은 어떻게 대처를 해야하나요?


곤지름을 영어로 hpv?라고 한다는데  예방 접종이 가다실을 맞으면 된다고 하던데 가격이 참 비싸네요


그런데 궁금한건 가다실을 맞으면 향후 관계시 만약 상대방이 곤지름 감염자여서 제가 피부접촉을 통해 저에게 곤지름 바이러스가


전파된다하더라도 예방 접종을 맞았으므로 완벽히 방어가 되는 건가요 아니면 곤지름 걸릴 확률을 낮춰준다는 건가요?


또 주요국가들은 이미  성경험이 대부분 없을 나이인 어린 나이대의 사람들에게 이 가다실이라는 예방 접종을 할 것을 권고한다는데


우리나라같은 경우 보건복지부 (가 맞을진 모르겠지만) 발표에 의하면  26살 전까지는 맞으면 된다는데요..


여기서 궁금해지는건 성 경험이 없는 사람이고 26살 이전이면 곤지름 예방접종을 맞는게 좋다고 하는데요


성경험이 있고 26살 이전인 경우인데 곤지름은 걸린적이 조직검사나 피검사를 통해 없다는게  입증이 된 경우에도 곤지름 예방에 효과가 있을지가 의문입니다.곤지름은 겉으론 완치가 된다고 하더라도 한 번 곤지름 바이러스가 몸 안에 들어오면 죽을 때까지

그 바이러스는 남아 있다고 하더라구요


마지막으로 26살 이후에 예방접종을 맞으면 효과가 아예 없다는 것인지도 궁금하네요.


제가 곤지름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여 좀 두서없게 상담글을 남겼지만 자세한 답변 부탁드려봅니다..

답변내역
답변일2014-03-27 17:38
답변제목곤지름 이게 꽤 피곤하고 끈질긴 병이더라구요.
안녕하세요? iSHAP상담실 원스 상담원입니다.
상담실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곤지름과 같은 성 매개질환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아 내담자님께서 많이 알아 보셨는데
정보들이 명확하지 않아 답답하실 것 같습니다.

곤지름이란 흔히 곤지름이라고 불리는 첨규콘딜롬은 법정감염병의 지정감염병 항목으로
분류되는 전염성이 강한 감염질환이며, 인간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es, HPV)가 원인입니다.
전염 경로는 구강성교, 항문성교를 포함한 성교행위와 생식기 접촉, 단순 피부 접촉으로도 전염 가능성 있습니다.
따라서 곤지름에 감염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가급적 증상이 있는 상대자는 성접촉을 금하고,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그리고 상대의 감염 여부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성관계시 콘돔을 사용해서
가능한 접촉 부위를 커버하는 것이 감염방지에 있어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콘돔을 사용한다고 해서 100% 예방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서 가장 적절한 예방 대책은 콘돔 사용입니다.
만일 감염이 되었다고 한다면 즉시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하며 치료 후 3~6개월 동안 재발되지 않는다면
이후에 재발 확률은 매우 작아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소 면역력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HPV 예방 백신은 자궁경부암 예방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입증되어 현재 상용화 되어있지만
곤지름 예방의 유효성 여부에 대해서는 저희가 의료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답변을 드리지 못하는 점
이해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HPV 예방 백신 접종과 관련해서는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iSHAP으로 전화 부탁드립니다.
서울/월-토 10AM - 10PM/02-792-0083
부산/화-토 10AM - 10PM/051-646-8088

회원로그인

종로센터 :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17, 5층 ㆍTel.02-792-0083 ㆍFax.02-744-9118

부산센터 : 부산시 동구 범일로 101-4, 2층 ㆍTel.051-646-8088 ㆍFax.051-646-8089

이태원센터 : 서울시 용산구 우사단로33, 3층 ㆍTel.02-749-1107 ㆍFax.02-749-1109

Copyright © www.ishap.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