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내역
닉네임 | 박아무개 |
---|---|
구분 | 남 / 30대 / 이성애자 |
상담실 인지경로 | 인터넷 |
결과 전달방법 | 게시판 |
안녕하세요.
에이즈라는 가능성 때문에 고민중입니다.
무서운 병이니만큼 선뜻 검사를 받아볼수 없기에 이곳에 먼저 문의를 해보는 것이니
정 불안하면 검사도 간단하니 속히 내원하여 검사받아보라는 답변은 조금 미뤄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ㅠ
우선 저는 2년전부터 취직을 하고 일때문에 또는 나이도 나이니만큼 자유시간때는
사적으로 만난 여성분들과 관계를 하곤했습니다. 콘돔착용은 한적이 없습니다.
2년간 그렇게 살다가 요즘들어 변화가 오네요.
이제 40을 바라보는 나이때문인가 라고 넘기려했으나 한편으론 제나이 37이 그렇게
면역력이 떨어지고 어릴적 있던 아토피가 다시 올라올만큼 기력이 쇠하는 시기가
아직은 아닌듯 싶습니다.
지난 2년사이 증상은,,
감염후 2~6주내에 있다는 일주일이상 지속되는 원인모를 발열(고열): 3년전 일주일간
지속된 39~40도의 고열과 오한, 전신임파선은 붓지 않았고 편도만 많이 부음.
체중감소도 설사도 열꽃도 기침도 인중과 구강의 염증이나 흰 반점도 없었음.
그냥 지독한 고열과 오한으로 길병원에 입원했었음. 길병원측에서 제 동의없이
피검사한 결과지를 설명해주는데 간수치가 조금 높고 매독이 양성(이건 위양성임.치료완료)
이라는 말을 해줬는데 에이즈에 관한 언급은 없었음. 이상이 없으니 말이 없었던건지,
매독만 검사하고 에이즈는 검사를 안했었던건지 의문임.
붉은반점(고열에 동반되는 열꽃으로 알고있음): 없었음
관절통근육통(고열에 동반되는 몸살로 알고있음): 없었음
겨드랑이안쪽 임파선 및 가랭이 임파선 비대: 없었음(가끔 무리한 활동을 한 날은
서혜부가 욱씬거림. 3년전 매독으로인한 심한부종이 있었는데 그 후유증으로 무리하면
그부위가 그럴수있다는 담당의의 진단이 있었음)
목 임파선 비대: 피곤할때 가끔 부었음(3~4일 지속)
비장종대(간염보균자이므로 3개월에 한번씩 간초음파를 보면서 비장도 확인함): 없었음
피부질환: 원래 겨울엔 건조해서 피부가 가려웠는데 올 겨울 유난히 온몸이 미치게 가려움.
박박 긁은 피터진 환부모습은 인터넷에 나오는 아토피 환부사진과 같음.
(인터넷에 나오는 에이즈 반점모습과는 다름)
그리고, 요즘 갑자기 비듬이 많아짐(스쳐도 우수수 비듬이 떨어짐)
1년전부터 뒷목에 작은 뾰루지가(좁쌀만한) 두달 한번꼴로 생겼다 사라짐.
만지면 아픔, 가렵지는 않음, 한참 익혔다가 짜면 고름나옴.
성기외형: 작년 이맘때쯤 깨알만한 사마귀 2개 생겻다 사라짐.
그중 한개는 검은색으로 변한후 1년째 그대로임.
분비물: 고름나온적은 없음. 요즘들어 하루 서너번정도 요도끝이 살짝 따끔거림(방금 따끔거린건가? 뭐였지? 하는정도)
삼개월사이 멀쩡한 맨살에 갑자기 콩알만한 두드러기 큰게 두차례 생겻다 사라짐.
여러군락으로 생기지않고 딱 한개만 생겼다 사라짐.
지난주 혓바늘이 나고 나았는데 그자리에 평생 없었던 지도상설이라는게 콩알만한게
혀에 생김. 일주일이 지난 지금 정상화됨.
------------------------------------------------------------------
2년사이 특이햇던 사항들은 여기까지입니다.
참고로 매독이력은 완치되어 작년 검사때도 음성판정 받았습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대로 그래도 대형병원인 길병원인데 환자 동의없이 매독검사를
했으면서 에이즈만 빼놓고 검사할수도 있는지요.
아니면 역시나 저의 사전동의없이 매독검사를 했으니 에이즈도 했을테고 별문제 없으니
저에게 매독과 간수치만 얘기를 했던 것일련지요.
그리고 40도 찍는 고열이 시작될 정도면 만약 에이즈라면 충분히 양성이 나올만한
시간이 만족되는건지요.
여기까지 판단하시기에 제가 에이즈일 가능성이 있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ㅜ
에이즈라는 가능성 때문에 고민중입니다.
무서운 병이니만큼 선뜻 검사를 받아볼수 없기에 이곳에 먼저 문의를 해보는 것이니
정 불안하면 검사도 간단하니 속히 내원하여 검사받아보라는 답변은 조금 미뤄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ㅠ
우선 저는 2년전부터 취직을 하고 일때문에 또는 나이도 나이니만큼 자유시간때는
사적으로 만난 여성분들과 관계를 하곤했습니다. 콘돔착용은 한적이 없습니다.
2년간 그렇게 살다가 요즘들어 변화가 오네요.
이제 40을 바라보는 나이때문인가 라고 넘기려했으나 한편으론 제나이 37이 그렇게
면역력이 떨어지고 어릴적 있던 아토피가 다시 올라올만큼 기력이 쇠하는 시기가
아직은 아닌듯 싶습니다.
지난 2년사이 증상은,,
감염후 2~6주내에 있다는 일주일이상 지속되는 원인모를 발열(고열): 3년전 일주일간
지속된 39~40도의 고열과 오한, 전신임파선은 붓지 않았고 편도만 많이 부음.
체중감소도 설사도 열꽃도 기침도 인중과 구강의 염증이나 흰 반점도 없었음.
그냥 지독한 고열과 오한으로 길병원에 입원했었음. 길병원측에서 제 동의없이
피검사한 결과지를 설명해주는데 간수치가 조금 높고 매독이 양성(이건 위양성임.치료완료)
이라는 말을 해줬는데 에이즈에 관한 언급은 없었음. 이상이 없으니 말이 없었던건지,
매독만 검사하고 에이즈는 검사를 안했었던건지 의문임.
붉은반점(고열에 동반되는 열꽃으로 알고있음): 없었음
관절통근육통(고열에 동반되는 몸살로 알고있음): 없었음
겨드랑이안쪽 임파선 및 가랭이 임파선 비대: 없었음(가끔 무리한 활동을 한 날은
서혜부가 욱씬거림. 3년전 매독으로인한 심한부종이 있었는데 그 후유증으로 무리하면
그부위가 그럴수있다는 담당의의 진단이 있었음)
목 임파선 비대: 피곤할때 가끔 부었음(3~4일 지속)
비장종대(간염보균자이므로 3개월에 한번씩 간초음파를 보면서 비장도 확인함): 없었음
피부질환: 원래 겨울엔 건조해서 피부가 가려웠는데 올 겨울 유난히 온몸이 미치게 가려움.
박박 긁은 피터진 환부모습은 인터넷에 나오는 아토피 환부사진과 같음.
(인터넷에 나오는 에이즈 반점모습과는 다름)
그리고, 요즘 갑자기 비듬이 많아짐(스쳐도 우수수 비듬이 떨어짐)
1년전부터 뒷목에 작은 뾰루지가(좁쌀만한) 두달 한번꼴로 생겼다 사라짐.
만지면 아픔, 가렵지는 않음, 한참 익혔다가 짜면 고름나옴.
성기외형: 작년 이맘때쯤 깨알만한 사마귀 2개 생겻다 사라짐.
그중 한개는 검은색으로 변한후 1년째 그대로임.
분비물: 고름나온적은 없음. 요즘들어 하루 서너번정도 요도끝이 살짝 따끔거림(방금 따끔거린건가? 뭐였지? 하는정도)
삼개월사이 멀쩡한 맨살에 갑자기 콩알만한 두드러기 큰게 두차례 생겻다 사라짐.
여러군락으로 생기지않고 딱 한개만 생겼다 사라짐.
지난주 혓바늘이 나고 나았는데 그자리에 평생 없었던 지도상설이라는게 콩알만한게
혀에 생김. 일주일이 지난 지금 정상화됨.
------------------------------------------------------------------
2년사이 특이햇던 사항들은 여기까지입니다.
참고로 매독이력은 완치되어 작년 검사때도 음성판정 받았습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대로 그래도 대형병원인 길병원인데 환자 동의없이 매독검사를
했으면서 에이즈만 빼놓고 검사할수도 있는지요.
아니면 역시나 저의 사전동의없이 매독검사를 했으니 에이즈도 했을테고 별문제 없으니
저에게 매독과 간수치만 얘기를 했던 것일련지요.
그리고 40도 찍는 고열이 시작될 정도면 만약 에이즈라면 충분히 양성이 나올만한
시간이 만족되는건지요.
여기까지 판단하시기에 제가 에이즈일 가능성이 있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ㅜ
답변내역
답변일 | 2015-02-17 17:10 |
---|---|
답변제목 | 에이즈일 가능성이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박아무개님 iSHAP 상담실 바다상담원입니다.
검사가 아직은 두려우신 모양입니다. 그래서 우선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싶어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HIV 감염은 증상만을 근거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HIV에 감염이 되어도 즉시 증상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감염인은 열, 근육통, 감기 등의 초기 증상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은 HIV 감염을 특징짓는 증상이 아니며 다른 질환군에서도 나타나는 증상들입니다. 아무개님이 나열하신 의심증상 가운데 실제로 나타난 고열, 오한, 가려움증, 비듬 역시 HIV 감염을 특징짓는 증상이 아니며, 다른 질환군에서도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따라서 특정 증상의 유무를 근거로는 HIV 감염여부를 알거나 짐작할 수 없습니다.
입원검사시 에이즈 검사가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검사실시 여부와 결과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의무기록을 직접 조회하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검사는 감염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신속검사의 경우 한 방울의 혈액 또는 입안 점막세포로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습니다. 검사를 실시하기로 용기내어 결정하신다면, 아무쪼록 좋은 결과가 나와서 마음이 후련해질 수 있기를 저도 바라겠습니다.
서울/월-토 10AM - 10PM/02-792-0083
부산/화-토 10AM - 10PM/051-646-8088
바다상담원 드림
검사가 아직은 두려우신 모양입니다. 그래서 우선 증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싶어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HIV 감염은 증상만을 근거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HIV에 감염이 되어도 즉시 증상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감염인은 열, 근육통, 감기 등의 초기 증상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은 HIV 감염을 특징짓는 증상이 아니며 다른 질환군에서도 나타나는 증상들입니다. 아무개님이 나열하신 의심증상 가운데 실제로 나타난 고열, 오한, 가려움증, 비듬 역시 HIV 감염을 특징짓는 증상이 아니며, 다른 질환군에서도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따라서 특정 증상의 유무를 근거로는 HIV 감염여부를 알거나 짐작할 수 없습니다.
입원검사시 에이즈 검사가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검사실시 여부와 결과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의무기록을 직접 조회하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검사는 감염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신속검사의 경우 한 방울의 혈액 또는 입안 점막세포로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습니다. 검사를 실시하기로 용기내어 결정하신다면, 아무쪼록 좋은 결과가 나와서 마음이 후련해질 수 있기를 저도 바라겠습니다.
서울/월-토 10AM - 10PM/02-792-0083
부산/화-토 10AM - 10PM/051-646-8088
바다상담원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