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내역
닉네임 | 도와주세요 |
---|---|
구분 | 남 / 20대 / 이성애자 |
상담실 인지경로 | 인터넷 |
결과 전달방법 | 게시판 |
안녕하세요 이번에 13주차 음성결과를 받고나서 찝찝한 마음에 문의를 드립니다
에이즈협회와 비뇨기과에서 12주 검사를 추천을 해줘서 저는
12주 검사면 정확한진단이 되는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글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던도중에 6개월까지 항체가 생성이 안되는 경우가있다고 12주 검사가 정확하지않다는 얘기를 들어 더 자세히 인터넷 검사를 해봤습니다(비뇨기과 원장님한테 말하니 인터넷보다는 자신의 말을 들으라하더군요)
근데 제가 검색하던도중 중앙대병원 칼럼글에서 글내용을 확인했는데요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2108322&cid=51003&categoryId=51023
이 글에서 보시다시피 제가 6개월까지 항체가 생성이 안되는거라면 12주 검사를 믿으면 안될까싶어서 문의드립니다... 지금 너무 불안한 상태로 하루하루 아무것도 못하며 지내고있습니다
그리고 진짜로 6개월동안 항체가 안만들어지는 사람이있으면 저와 차이점이 무엇인가오..?
전문의와 상담을 할수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러한 방법도부탁드리겠습니다 간절합니다...
에이즈협회와 비뇨기과에서 12주 검사를 추천을 해줘서 저는
12주 검사면 정확한진단이 되는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글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던도중에 6개월까지 항체가 생성이 안되는 경우가있다고 12주 검사가 정확하지않다는 얘기를 들어 더 자세히 인터넷 검사를 해봤습니다(비뇨기과 원장님한테 말하니 인터넷보다는 자신의 말을 들으라하더군요)
근데 제가 검색하던도중 중앙대병원 칼럼글에서 글내용을 확인했는데요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2108322&cid=51003&categoryId=51023
이 글에서 보시다시피 제가 6개월까지 항체가 생성이 안되는거라면 12주 검사를 믿으면 안될까싶어서 문의드립니다... 지금 너무 불안한 상태로 하루하루 아무것도 못하며 지내고있습니다
그리고 진짜로 6개월동안 항체가 안만들어지는 사람이있으면 저와 차이점이 무엇인가오..?
전문의와 상담을 할수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러한 방법도부탁드리겠습니다 간절합니다...
답변내역
답변일 | 2016-03-15 15:46 |
---|---|
답변제목 | 12주 이후 검사를 받았는데 믿을만 한 결과인가요? |
안녕하세요? 아이샵 모노 상담원입니다. 상담실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13주차 검사에서 음성판정을 받았는데,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최대 6개월까지 항체가 생성이 되지 않을수도 있다는 중앙대병원 칼럼을 발견하셨네요. 그래서 님의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것인지 의심이 되나 봅니다.
HIV항체검사는 12주 이후에 실시하게 되면 정확한 결과입니다. 의심행위후 12주후 검사는 국제보건기구 및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의 지침입니다. 의심행위 12주후가 지난 검사에서 모든 사람들이 감염유무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6개월 후 검사는 HIV가 발견되었던 초창기에 검사도구등의 한계로 인해 간혹 6개월후 검사를 권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현재는 1차 검사는 의심행위 12주후 검사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6개월 후 검사는 1차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지만 2차 확진검사(Western Blot)에서 미결정으로 6개월 후 검사, 1년후 재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입니다. 즉 12주후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이지 12주후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사람은 그것으로 감염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내담자님께서 링크를 걸어주신 중앙대 의학 칼럼이 아닌 연대 세브란스 건강 칼럼에는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2104470&cid=51003&categoryId=51022
[Q. HIV 바이러스에 노출된지 3개월 뒤에 에이즈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괜찮다고 그러던데 왜 기간이 꼭 3개월 인지 확실한 이유를 듣고 싶습니다.
A. 현재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시행되고 있는 에이즈검사는 에이즈바이러스의 항체를 발견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에이즈바이러스(항원)를 직접 발견할 수도 있겠지만, 항원의 경우에는 종종 그 모습을 백혈구 등의 다른 곳에 숨기기 때문에 여러 가지 까다로운 절차와 그 시기를 매우 세심하게 점검해야 합니다.
항체검사는 그 절차와 시기가 매우 간편하며 정확도도 항원보다 높습니다. 항체는 항원이 들어오면 바로 생성됩니다만 시약이 감지할 수 있는 일정한 양이 생성되어야만 합니다. 일정한 양이 생성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개월이며, 빠른 분들은 6주 후에도 생성됩니다만 가장 신뢰도가 높은 검사시간은 3개월(약 12주)이후가 됩니다.]
그러므로 내담자님께서 보신 그 칼럼은 무시하고 12주후 검사 결과를 신뢰하시고 걱정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감염내과가 있는 대학병원에 문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더 궁금하신 내용은 아래 전화로 전화주시기 바랍니다.
서울 02)792-0083
부산 051)646-8088
13주차 검사에서 음성판정을 받았는데,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최대 6개월까지 항체가 생성이 되지 않을수도 있다는 중앙대병원 칼럼을 발견하셨네요. 그래서 님의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것인지 의심이 되나 봅니다.
HIV항체검사는 12주 이후에 실시하게 되면 정확한 결과입니다. 의심행위후 12주후 검사는 국제보건기구 및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의 지침입니다. 의심행위 12주후가 지난 검사에서 모든 사람들이 감염유무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6개월 후 검사는 HIV가 발견되었던 초창기에 검사도구등의 한계로 인해 간혹 6개월후 검사를 권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현재는 1차 검사는 의심행위 12주후 검사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6개월 후 검사는 1차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지만 2차 확진검사(Western Blot)에서 미결정으로 6개월 후 검사, 1년후 재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입니다. 즉 12주후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이지 12주후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사람은 그것으로 감염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내담자님께서 링크를 걸어주신 중앙대 의학 칼럼이 아닌 연대 세브란스 건강 칼럼에는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2104470&cid=51003&categoryId=51022
[Q. HIV 바이러스에 노출된지 3개월 뒤에 에이즈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괜찮다고 그러던데 왜 기간이 꼭 3개월 인지 확실한 이유를 듣고 싶습니다.
A. 현재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시행되고 있는 에이즈검사는 에이즈바이러스의 항체를 발견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에이즈바이러스(항원)를 직접 발견할 수도 있겠지만, 항원의 경우에는 종종 그 모습을 백혈구 등의 다른 곳에 숨기기 때문에 여러 가지 까다로운 절차와 그 시기를 매우 세심하게 점검해야 합니다.
항체검사는 그 절차와 시기가 매우 간편하며 정확도도 항원보다 높습니다. 항체는 항원이 들어오면 바로 생성됩니다만 시약이 감지할 수 있는 일정한 양이 생성되어야만 합니다. 일정한 양이 생성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개월이며, 빠른 분들은 6주 후에도 생성됩니다만 가장 신뢰도가 높은 검사시간은 3개월(약 12주)이후가 됩니다.]
그러므로 내담자님께서 보신 그 칼럼은 무시하고 12주후 검사 결과를 신뢰하시고 걱정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감염내과가 있는 대학병원에 문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더 궁금하신 내용은 아래 전화로 전화주시기 바랍니다.
서울 02)792-0083
부산 051)646-8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