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내역
닉네임 | 박모씨 |
---|---|
구분 | 남 / 30대 / 이성애자 |
상담실 인지경로 | 인터넷 |
결과 전달방법 | 게시판 |
전 에이즈감염이 마약주사, 성관계, 수혈 이정도인 줄 알았는데 칫솔사용도 가능성이 있다니 미칠거 같아요ㅠ
몇일전에 불특정여성(20대중반)과 채팅어플로 만나서 관계를 맺었는데 콘돔도 확실히 껴고 끝나고 찢어진곳은 없는지 확인도 해서 걱정안했는데
걱정인것이 칫솔을 하나로 같이 사용했거든요ㅠ
여성이 에이즈보균자라고 가정하에
궁금한건은?
1. 여성이 씻구난 후 관계를 맺을라는데 저한테 입냄새가 난다고 양치하고 오라길래 화장실가서 했죠
한개 있길래 그걸루 했는데 찝찝해서 양치전에 수돗물로 대충 헹구고 바로 양치했어요(가볍게)
그 칫솔은 세면대위에 놓여있었구요 그 칫솔을 가지고 재사용하기까지 대략 5분에서 10분정도 된 거 같아요
찝찝한게 여성 입일에 물집이 있었고 제가 충치가 있거든요ㅠ 화장실이 어두워서 칫솔에 피가 묻었는지 자세히 못봤어요ㅠ(피는 안묻은거 같긴 한데요ㅜ)
이럴경우 감염여부가 있나요?
2. 에이즈바이러스가 공기나 물에는 즉시 사멸된다고 들었는데 이 경우에도 대략 5분에서 10분정도 공기에 노출되었고 물에도 가볍게 헹궜는데 그래도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가요?
3. 감염여부가 있다면 성관계시(0.5%)정도 마약주사기 공용사용 시 1%라고 들었는데 칫솔의 경우는 확률이 어떻게되나요?
3. 에이즈여성환자는 대도시에 많이 계시겠죠?
20대 여성감염자는 어느정도 되는가요?ㅜ 누적...
2주전에 에이즈음성판정 받아서 좋아했는데 또 이러니 미치겠어요ㅠ
진지한데 잘 아시는 분 꼭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렇다면 그 이유에 대해서도 말씀 부탁드릴게요
꼭 입니다ㅠ
몇일전에 불특정여성(20대중반)과 채팅어플로 만나서 관계를 맺었는데 콘돔도 확실히 껴고 끝나고 찢어진곳은 없는지 확인도 해서 걱정안했는데
걱정인것이 칫솔을 하나로 같이 사용했거든요ㅠ
여성이 에이즈보균자라고 가정하에
궁금한건은?
1. 여성이 씻구난 후 관계를 맺을라는데 저한테 입냄새가 난다고 양치하고 오라길래 화장실가서 했죠
한개 있길래 그걸루 했는데 찝찝해서 양치전에 수돗물로 대충 헹구고 바로 양치했어요(가볍게)
그 칫솔은 세면대위에 놓여있었구요 그 칫솔을 가지고 재사용하기까지 대략 5분에서 10분정도 된 거 같아요
찝찝한게 여성 입일에 물집이 있었고 제가 충치가 있거든요ㅠ 화장실이 어두워서 칫솔에 피가 묻었는지 자세히 못봤어요ㅠ(피는 안묻은거 같긴 한데요ㅜ)
이럴경우 감염여부가 있나요?
2. 에이즈바이러스가 공기나 물에는 즉시 사멸된다고 들었는데 이 경우에도 대략 5분에서 10분정도 공기에 노출되었고 물에도 가볍게 헹궜는데 그래도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가요?
3. 감염여부가 있다면 성관계시(0.5%)정도 마약주사기 공용사용 시 1%라고 들었는데 칫솔의 경우는 확률이 어떻게되나요?
3. 에이즈여성환자는 대도시에 많이 계시겠죠?
20대 여성감염자는 어느정도 되는가요?ㅜ 누적...
2주전에 에이즈음성판정 받아서 좋아했는데 또 이러니 미치겠어요ㅠ
진지한데 잘 아시는 분 꼭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렇다면 그 이유에 대해서도 말씀 부탁드릴게요
꼭 입니다ㅠ
답변내역
답변일 | 2016-11-22 16:21 |
---|---|
답변제목 | 칫솔사용도 가능성이 있다니 미칠거 같아요ㅠ |
안녕하세요? iSHAP상담실 제임스상담원입니다. 상담실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만약에 HIV감염인과 칫솔을 같이 사용할 경우 HIV감염경로에 해당이 되는지 궁금하시군요.
박모씨님의 글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채팅앱으로 만난 상대여성(HIV감염인일 경우)이 사용한 칫솔을 같이 사용했을 경우 HIV감염경로에 해당여부가 제일 걱정이 되는 것 같네요.
혹시나 상대여성이 HIV감염인 이고, 칫솔을 같이 사용해도 일단 박모씨님이 물로 헹구었기 때문에 칫솔에 묻은 피는 씻기게 됩니다. 그러면 당연히 감염매개체인 피가 구강내 상처에 노출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또한, 그 여성이 칫솔질을 해도 마지막에는 칫솔을 헹구는 것이 일반적인 행동이기 때문에 칫솔에 피가 묻을 가능성도 없겠죠.
그러니 괜한 걱정 말고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HIV감염인의 감염현황 중 나이대/지역별 현황은 질병관리본부에서 관리하오니 전화로 문의하시면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하거나 더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대한에이즈예방협회 상담지원센터 (02-1599-8105)로 전화 및 면접 상담을 요청하시면 최대한 도와드리겠습니다.
만약에 HIV감염인과 칫솔을 같이 사용할 경우 HIV감염경로에 해당이 되는지 궁금하시군요.
박모씨님의 글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채팅앱으로 만난 상대여성(HIV감염인일 경우)이 사용한 칫솔을 같이 사용했을 경우 HIV감염경로에 해당여부가 제일 걱정이 되는 것 같네요.
혹시나 상대여성이 HIV감염인 이고, 칫솔을 같이 사용해도 일단 박모씨님이 물로 헹구었기 때문에 칫솔에 묻은 피는 씻기게 됩니다. 그러면 당연히 감염매개체인 피가 구강내 상처에 노출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또한, 그 여성이 칫솔질을 해도 마지막에는 칫솔을 헹구는 것이 일반적인 행동이기 때문에 칫솔에 피가 묻을 가능성도 없겠죠.
그러니 괜한 걱정 말고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HIV감염인의 감염현황 중 나이대/지역별 현황은 질병관리본부에서 관리하오니 전화로 문의하시면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하거나 더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대한에이즈예방협회 상담지원센터 (02-1599-8105)로 전화 및 면접 상담을 요청하시면 최대한 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