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개의 포스트가 있습니다. (1/2페이지)
전문의 칼럼 시리즈 (3)
편집자주: 알아야 힘! 아이샵은 우리가 꼭 알고 있어야 하는 HIV/AIDS 질환 정보 제공을 위해 세 분의 전문의가 쓰신 칼럼을 총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HIV/AIDS 질환에 대한 최신 정보, ..
전문의 칼럼 시리즈 (2)
편집자주: 알아야 힘! 아이샵은 우리가 꼭 알고 있어야 하는 HIV/AIDS 질환 정보 제공을 위해 세 분의 전문의가 쓰신 칼럼을 총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HIV/AIDS 질환에 대한 최신 정보, ..
전문의 칼럼 시리즈 (1)
편집자주: 알아야 힘! 아이샵은 우리가 꼭 알고 있어야 하는 HIV/AIDS 질환 정보 제공을 위해 세 분의 전문의가 쓰신 칼럼을 총 3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HIV/AIDS 질환에 대한 최신 정보, ..
에이즈에 대해 말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iSHAP 동료홍보요원 박○○ iSHAP에서 에이즈 관련 활동한지 벌써 5년의 시간이 되었다. iSHAP 초창기때부터 활동하였으니 iSHAP과 역사를 같이 하였다고 할 수도 있겠다. 지..
모르는 게 죄, 아는 게 힘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상근간사박기호모르는게 약이다와 아는게 힘이다라는 속담과 변형되어 쓰이는 말로 모르는게 죄라거나 아는게 병이라는 말도 있다. 아마도 게이 커뮤니티에서 에이즈와 에이즈 감염인을 바라..
I Have AIDS. Hug Me Please. HIV/AIDS 감염인/환자를 위한 모임 러브포원박 광 서 요즘 인터넷에는 온통 Free Hug에 대한 이야기로 뜨겁다. 2년전 즈음에 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하는 후안 만이라는 청년으..
우리는 고위험집단이 아니다 에이즈 예방 사업이나 정책을 제시한다는 논문이나 정책 보고서, 그리고 신문 기사까지 그 어디든 가장 흔히 쓰이는 단어가 바로 ‘고위험집단’이다. 고위험집단으로 여겨지는 대상을 집중관리하면 일반 국민에게 전파..
사회모순의 확대경 - 에이즈 초기 HIV 감염이 확대된 가장 큰 원인은 정부와 국민 대다수의 무관심이다. 이들이 무관심할 수 있었던 것은 에이즈를 ‘게이들의 역병’으로 낙인찍었기 때문이며 여기엔 동성애와 동성애자에 대한 혐오, 무시,..
에이즈는 어떻게 게이의 병이 되었나 1981년 6월 5일,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마이클 고틀리브 박사는 역사상 처음으로 에이즈 관련 기사를 작성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환자들은 고열과 체중감소 증상을 보이다 봄 무렵 희귀한 폐..
일본 동경의 동성애자를 위한 에이즈 정책 일본의 수도 동경. 동경시는 동성애자들의 에이즈 예방을 위해 어떤 정책을 쓰고 있을까? 앞으로 서울시가 어떤 정책을 펼칠지 관심을 가지기 위해서라도 한번 옆 나라 사정을 살펴보자. 일본은 먼저..
미래는 없다? 올 여름 이반시티에서 주최한 여름캠프에서 iSHAP 팀장님이 강의하셨던 에이즈예방 강의 자료를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콘돔을 이용한 여러 교육들과 함께 이반들의 끼를 엿볼 수 있는 여러 에이즈 예방 포스터들을 볼 수..
[박광서] 에이즈와 사우나
(1)
에이즈와 사우나흔히들 이반시티의 자유게시판을 달구는 주제중의 하나가 에이즈와 사우나에 대한 이야기들이다. 싸움의 주 내용을 보면 어느 사우나에 에이즈 환자가 자주 와서 이 사람 저 사람 성관계를 한다더라. 그 사람의 신상을 공개해서 ..
멀리 혹은 가까이 iSHAP 상담원으로 일한지 1년이 넘어갑니다. HIV와 관련된 이반들의 고민을 듣고 답하면서 느낀 점이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이반들이 에이즈에 대한 막연한 공포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단적인 예로, ..
세이프 섹스와 바텀 동성간의 항문 성교시 성기를 삽입하는 사람을 탑, 성기를 받는 사람을 바텀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둘 다 가능한 사람을 올이라고 하지요. 이반 커뮤니티내에서 사용하는 은어이지만 이반 커뮤니티내에서는 공식 용어나 다..
의료보험수가 365일 상한제와 HIV감염인/AIDS환자의 문제점 이땅에 에이즈가 나타난지 벌써 20여년이란 세월이 지났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염인이나 환자에 대한 처우가 바뀌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 곰곰이 생각해 봅니다. 지난해..
[일반] [홍민욱] 세이프 섹스
세이프 섹스
홍민욱 (iSHAP 전문 상담원)
HIV/AIDS가 인류를 괴롭히는 질병으로 선 보인지 대략 20년이 넘어갑니다. 그 20년동안 수많은 사람이 AIDS로 죽었고, 지금도 고통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돈과 인..
동성애자의 헌혈을 막겠다굽쇼?
한채윤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부대표)
2003년, 수혈로 인한 HIV 감염 사건이 일어났을 때, 모 신문의 한 기자는 일부 동성애자들이 파렴치하게도 에이즈 감염 여부를 알기 위해 ..
감염인의 병원진료
HIV에 감염된 감염인은 우선 쉽게 생각해보면 아픈 사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병원에 자주 가게 됩니다. 1달에 1번씩 정기적인 병원진료를 제외하고도 면역성이 떨어짐에 따라 여러 가지 기회감염이 오게 되면 ..
어느 인문학자의 위험한 상상
신문을 보는데 숨이 턱 막힌다. 대학 교수가 유명 일간지에 쓴 컬럼이 너무도 기가 막혀서 한숨을 내쉬어야 할지 아님 그냥 허허거리며 웃어야 할지 모르겠다. 동성애와 에이즈에 대한 무지의 극치를 ..
[일반] [홍민욱] 증상이 아닌 검사로
동성간의 성관계가 있는 이반들이라면 단 한번이라도 막연하게나마 HIV/AIDS에 대한 의심을 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감염이 의심되는 위험한 행위가 없었어도 동성간에 성관계를 가졌다는 사실로 근거없는 의심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